렉서스에서 출시할 MPV, LM은 어떤 차?
상태바
렉서스에서 출시할 MPV, LM은 어떤 차?
  • 박병하
  • 승인 2024.06.03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렉서스코리아가 오늘(3일) 신형의 MPV 모델, 'LM'의 사전 계약을 실시했다. 렉서스 LM은 일본 내수용 대형 MPV인 알파드(Alphard)를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용 모델로 출발해, 렉서스만의 력셔리한 이동의 경험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특히 이번에 렉서스코리아에서 출시할 LM은 현재 국내서 판매되고 있는 알파드와 같이, 글로벌 아키텍처(GA-K)기반으로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2세대 모델이다. 

국내 시장에 출시될 새로운 렉서스 LM은 차명의 유래이기도 한, '럭셔리 무버(Luxury Mover)'를 더욱 강조하는 새로운 차원의 럭셔리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외관 디자인은 브랜드 최초의 전기차 전용 모델인 RZ로부터 시작된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새로운 렉서스 LM은 글로벌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완전히 새로 개발된 차종으로, 이전과는 확실히 달라진 디자인을 선보인다. 물론 여전히 일본 내수시장 스타일의 높은 박스형 차체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곳곳에 볼륨감을 강조하는 조형을 적용하고, 거의 수직으로 떨어졌던 D필러의 각도도 약간 더 완만하게 다듬으면서 기존 LM 보다 한층 스타일리시한 감각을 자랑한다. 슬라이딩 도어의 레일을 쿼터글라스 하단에 감쪽같이 숨겨 놓은 점도 눈에 띈다.

특히 전면부는 1세대 LM과 맥을 같이 하면서도 한층 단단하고 입체적인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도드라진 보닛 끝자락과 범퍼를 통째로 덮고 있는 사다리꼴의 라디에이터 그릴에는 전용의 육각패턴을 적용해 미래적이면서도 독특한 감각을 전달한다. 헤드램프는 좌우 3연장의 LED 램프를 전면 채용했으며 헤드램프 주위를 덮은 LED 데이라이트로 또렷한 인상을 강조한다. 

측면에서는 1세대 LM에서 보여졌던 것과 크게 달라진 외형을 갖는다. 1세대 LM은 토요타의 내수 전용 고급 MPV 모델인 알파드를 바탕으로 디자인 일부만 변경해 만들어진 차종이었기에, 측면에서는 내부공간 확보에 역점을 두었던 알파드의 평면적인 측면 디자인이 그대로 드러났다. 이 뿐만 아니라 렉서스 LM은 일본 내수시장이 아닌, 해외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덕분에 차량의 크기부터 현세대 알파드 대비 더 크다. 길이는 5,125mm에 폭은 1,890mmm, 그리고 높이는 1,955mm에 이른다. 이는 알파드 대비 길이는 130mm길고, 폭은 40mm, 높이는 20mm 더 크며, 휠베이스는 3,000mm로 같다.

뒷모습에서는 날개형상을 이루며 뻗어나가는 일체형의 LED 테일램프를 비롯하여 수평기조에 대단히 충실한 기조로 꾸며져 있다. 간결하면서도 입체감 있는 조형을 통해 고급 MPV로서의 스타일을 더욱 당당하게 표출하고 있다.

인테리어는 후륜구동 세단을 연상케 하는 고급스러움이 눈에 띈다. 계기반과 연결되는 스타일의 디스플레이 둘레와 극도로 수평기조에 충실한 대시보드, 차량의 곳곳에 적용된 꼼꼼한 가죽 마감과 스티칭, 무늬목 내장재 등이 눈에 띄며, 극도로 단순화되어 있는 구조도 볼만하다. 스티어링 휠은 최신형 렉서스에 적용되는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을 사용하며, 시프트 노브 또한 LS, LC에서나 볼 법한 완전 전자식의 소형 노브가 적용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시장에 출시될 렉서스 LM500h는 4인승 모델과 6인승 모델이 판매된다. 4인승 로얄(Royal) 모델에는 운전석과 2열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내부 창에 디밍 기능을 적용해 완전히 프라이빗한 공간으로 바꿀 수도 있다. 오직 4개의 좌석만을 배치함으로써 LM의 압도적인 공간 전체를 십분 활용해 고급스러운 좌석과 편의사양으로 채워 넣었다. 처음부터 VIP 의전을 염두에 둔 구성이 눈에 띈다. 

이 뿐만이 아니다. 뒷좌석과 운전석 사이의 격벽에는 48인치의 대형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엔터테인먼트 기능 뿐만 아니라 화상회의 등, 이동 중 업무에도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적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하단에는 냉장고와 수납 공간을 적용했다. 이 뿐만 아니라 알파드를 통해 선보인 바 있는 독특한 오버헤드 콘솔도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6인승 좌석의 경우에는 토요타 알파드와 동일하게 2-2-2배치의 총 3열좌석 구조이며, 충분한 내부 공간을 바탕으로 보다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렉서스 LM은 어느 좌석 구성을 선택하든, 기본적으로 높은 차체와 낮은 바닥 높이를 가진 일본식 MPV의 공식에 충실하게 만들어져 있어, 박스형 차체에서 나오는 넉넉한 공간과 동선을 자랑한다. 

특히 4인승 모델의 뒷좌석은 오토만 리무진 시트가 적용되며 전동조절 기능은 기본에, 열성, 통풍 기능, 그리고 항공기 퍼스트클래스의 좌석처럼 시트를 눕힐 수 있다. 심지어 탑승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전용 온열 IR 매트릭스 센서를 내장해 탑승자의 얼굴, 가슴, 대퇴부, 하퇴부 등의 4구획으로 나누어 최적의 온기 혹은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여기에 각 좌석마다 1개의 스마트폰 홀더와 접이식 테이블, 전용 하단 수납장, 전용 우산 꽂이 등 다양한 편의사양을 제공한다.

국내 시장에 출시될 렉서스 LM은 LM500h 모델이다. LM500h에는 지난해 국내서도 출시된 바 있는 RX500h에 적용된 것과 기계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신규개발된 2.4리터 직렬 4기통 터보 엔진(T24A-FTS)을 기반으로 고성능의 전기모터를 조합한 것이다. 엔진 최고출력은 275마력/6,000rpm, 최대토크는 46.9kg.m/2,000~3,000rpm이다.

전기모터는 전륜과 후륜에 각각 탑재된다. 전륜에 탑재된 모터는 87마력의 최고출력과 29.8kg/m의 최대토크를, 후륜에 탑재된 전기모터(eAxle)는 103마력의 최고출력과 17.2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하며, 전기식의 전기식의 '다이렉트4' 상시사륜구동 시스템을 구성한다.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오랫동안 사용되며 내구성과 안정성을 입증한 니켈수소(Ni-MH) 배터리팩을 사용하는데, 이 배터리팩 또한 더욱 개선된 구조의 셀을 적용해 안정성은 그대로지만 충/방전효율은 크게 끌어올렸다.

정숙성과 승차감을 위한 장비 역시 충실하다. 렉서스는 LM "편안하게 느끼는 자연스러운 평온함"을 정숙성의 척도로 삼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설계들을 적용했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차량의 안팎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과 발생 부위 등을 정교하게 해석해 소음의 원음을 작게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서 차량 내부로의 소음 침투를 차단하고, 차내의 소음을 흡수하는 3단계의 수동적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대책을 더욱 충실히 하는 방향으로 개발했다고 한다. 또한 차량의 유리에는 어쿠스틱 글라스를 적용한다.

승차감은 모든 좌석의 탑승자가 최상의 편안함을 제공함으로써, 플래그십 고급 세단에 상응하는 질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일단 승하차의 편의성에 있어서, 개구부가 매우 넓은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한 것을 필두로, 낮은 차체 바닥 높이, 그리고 기존 LM 대비 1.5배 향상된 차체 비틀림 강성, 차체 상부에 구조용 접착제 대폭 적용으로 무게중심이 올라가는 것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대책이 적용되었다.

여기에 솔레노이드식 액추에이터와 주파수 감응 밸브를 병용한 주파수 감응 밸브식 AVS를 렉서스 제품군 내 최초로 적용했다. 이를 통해 저주파부터 고주파 진동 모두를 폭넓은 영역으로 세밀하게 진동을 감쇠해 나가도록 하여 속도에 관계 없이 최상의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뒷좌석의 쾌적함을 중시하는 전용의 주행모드를 따로 마련하여 더욱 쾌적한 경험을 제공한다.

'럭셔리 무버' 렉서스 LM500h의 권장소비자가격은 4인승 로열 그레이드 1억 9,600만원, 6인승 이그제큐티브 그레이드 1억 4,800만원이다. (부가세 포함, 개별소비세 5%)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