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자동차의 산업이 시작된 지도 벌써 반 세기가 훌쩍 넘었다. 한국전쟁 이후 조금씩 싹을 틔우기 시작했던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은 성장에 성장을 거듭하며, 오늘날에는 조선, 반도체, 전자제품 등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력 수출 상품 중 하나로 굳건히 자리 잡았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다고도 할 수 있는 이 시간 동안, 대한민국에서는 수많은 자동차들이 태어나고 사라졌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그 이름을 잇고 있는 차는 적어도 승용차 중에서는 의외로 얼마 되지 않는다. 제조사들이 신차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페이스리프트 모델에도 새 이름을 지어주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1986년 처음 등장한 현대자동차의 그랜저는 지금까지도 그 이름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혁대 현대자동차 양산차들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이름이기도 하다.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초대 그랜저는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와 미쓰비시자동차(이하 미쓰비시)와의 공동개발로 만들어졌다. 1980년대 당시, 양사는 서로가 새로운 고급세단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먼저 현대자동차의 경우, 포드 그라나다를 더 이상 생산할 수 없었던 데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앞두고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할 독자적인 대형 세단 모델을 원했다. 한편 미쓰비시는 미쓰비시는 20년 이상 '묵은' 자사의 고급세단 데보네어(Debonair)의 후속 차종을 개발하고자 했으나 혼자서 신형 대형세단을 개발하는 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컸다. 당시에나 지금이나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제조사였기 때문이다.
이에 미쓰비시는 이미 자사에 비해 훨씬 대규모의 설비를 갖추고 있었던 현대자동차에 새로운 고급 승용차를 공동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차량의 개발과 설계는 미쓰비시가 주도하고 현대자동차는 생산을 담당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양사의 이해가 맞아 떨어져 태어난 차가 바로 현대자동차의 초대 그랜저다. 태어났을 당시부터 지금까지,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으로서 그 이름을 이어오고 있는 그랜저의 35년을 훑어 본다.
1세대(1986~1992) - 대우 로얄 패밀리를 몰락시키다
1986년 시장에 등장한 초대 현대 그랜저는 순식간에 시장의 이목을 잡아 끌었다. 이 당시의 중형~대형 세단 시장은 대우자동차의 '로얄' 시리즈가 완전히 틀어 쥐고 있었다. 하지만 그랜저는 등장과 동시에, 로얄 시리즈가 사실 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던 대우 로얄 시리즈를 단숨에 밀어냈다.
여기에 당시 엔진 4기통 제한 조치가 풀리게 되면서 V6 싸이클론 엔진을 탑재한 V6 3.0 버전까지 출시되면서 대우 로얄 패밀리를 순식간에 몰락의 길로 몰아 넣었다. 대우자동차가 절치부심 끝에 개발한 임페리얼까지 압살한 것은 덤이다. 그리고 이 때부터 그랜저는 '고급 승용차', 그리고 '부의 상징'으로 통하기 시작했다.
2세대(1992~1998) - 당대 최고의 대형세단으로
초대 그랜저가 성공적으로 한국 시장을 장악하면서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는 차세대 고급 승용차의 두 번째 공동개발에 나섰다. 그랜저의 성공을 지켜 본 미쓰비시는 이번에도 현대자동차에 생산을 맡기고, 디자인과 기본설계는 자사에서 진행했다. 이렇게 태어난 차가 바로 3세대 미쓰비시 데보네어, 그리고 2세대 현대 그랜저다.
2세대 현대 그랜저는 초대 그랜저의 성공에 '굳히기'로 작용했다. 곡선적인 디자인을 전면 적용한 신세대 그랜저는 국내 시장에서 또 한 번 크게 어필했으며, 전체적인 사이즈도 훨씬 커져서 더욱 대형차다운 구색을 갖추게 되었다. 여기에 다양한 첨단 안전/편의사양을 아낌없이 투입해, 고급세단으로서 큰 경쟁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자동차는 이를 기반으로 한 신형의 대형세단 '다이너스티'를 출시하면서 그랜저의 이름은 곧 사라질 운명을 맞았다.
3세대(1998~2005) - 터닝 포인트를 마련하다
2세대 그랜저는 고급차로서 뛰어난 상품성으로, 초대 모델의 영광을 이어갔지만, 현대자동차는 이보다 더욱 고급스러운 승용차, 다이너스티를 선보이면서 그랜저의 이름을 지우고자 했다. 그리고 1995년에 그랜저와 쏘나타 사이를 메울 '준대형'세단 모델인 '마르샤'를 출시했지만 마르샤는 전례 없는 대실패를 겪고 말았다. 이 때문에 마르샤의 후속 프로젝트로 기획된 'XG'에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을 안게 되었다.
이에 현대자동차는 다이너스티의 무리한 출시로 인해 붕 뜨게 된 '그랜저'의 이름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마르샤는 이미 처참한 실패를 겪었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없었지만, 그랜저는 적어도 '성공한'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대자동차가 완전히 독자적으로 개발을 주도하게 되면서 디자인부터 설계까지 권위적인 디자인을 고수했던 미쓰비시의 스타일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더 작아진 그랜저, 그랜저XG는 더욱 세련되고 스포티한 스타일과 '오너 드라이브'를 강조한 '준대형' 세단으로 태어나,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국내 최초의 프레임리스 윈도우를 비롯해, 국내 최초로 시도된 블랙베젤 헤드램프 등, 여러가지 선진적 요소들이 눈길을 끌었다. 여기에 풍부한 편의장비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등으로, 체급은 작아도 관용차로 활용하기에도 좋았다. 여기에 독자개발한 델타 V6 엔진까지 적용했다. 그랜저XG는 7년의 세월동안 판매가 이루어지다가 2005년, 4세대 그랜저와 바톤 터치를 하고 단종을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