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의 상징 '트라반트'
상태바
독일, 통일의 상징 '트라반트'
  • 모토야편집부
  • 승인 2018.12.07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은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 세계적인 입지를 점하고 있다. 특히 고급 자동차 분야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를 필두로 포르쉐, BMW, 아우디 등, 다수의 브랜드가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이들은 독일이 동과 서로 나뉘어 있었던 시절, 서독의 경제를 책임지는 제조업의 중추였다. 또한 자동차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익숙한 독일계 기업 혹은 브랜드는 대부분 서독을 근거지로 하는 기업들이다.

그렇다면 독일이 통일되기 전, 동독 지역의 산업은 어떠했을까? 동독 지역은 서독에 비해 그 영토부터 인구, 그리고 산업의 발달 면에서 서독에 비해 훨씬 낙후되어 있었다. 서독은 냉전 시절 서방권의 방패 역할을 하게 되면서 미국의 적극적인 원조에 따라 이른 바 ‘라인강의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빠르게 재건되었다. 하지만 동독은 그렇지 못했다. 동독은 경직된 사회체제와 낙후된 산업 환경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동독 정부가 해체되는 그 날까지 극복하지 못했다.

trabant_p50_2-3.jpg

하지만 이렇게 낙후된 동독의 산업 환경에서도 자동차는 생산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자동차는 동독의 시민들이 구입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자동차였다. 이 차의 이름은 ‘트라반트(Trabant)’다. 트라반트는 ‘VEB 작센링(VEB Sachsenring)’이라는 제조사의 츠비카우(Zwickau) 공장에서 생산된 세단형 자동차다.

svecipemngt11-1.jpg

트라반트는 1957년부터 통일 직후인 1991년까지 370만대가 넘게 생산되었다. 공산주의 국가였던 동독에서 트라반트는 국민차 반열에 오른다. 통일 이후 자동차 저널리스트들이 평가한 트라반트는 “시끄럽고 느리며 이상한 설계와 못난 디자인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실내에는 타코미터도 없었고 전조등, 방향지시등 레버도 연료 게이지도 뒷좌석 벨트도 없었다.

trabant_p50_6-4.jpg

트라반트의 공장이 있었던 츠비카우는 호르히(Horch), 데카베(DKW), 반더러(Wanderer), 그리고 아우디 등이 합병한 아우토우니온(Auto Union)이 들어서면서 1930년대부터 이미 자동차 공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동독에 공산 정권이 들어서면서 작센링 자동차도 인민소유경영체제로 전환되었고 전 인민과 노동자를 위한 승용차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그러나 동독은 자동차 생산에 필수 자재인 철강이 부족했다. 그러나 서방세계와 단절된 동독은 소련의 지원은 고사하고 부족한 철강을 수입할 여력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VEB 작센링 자동차는 FRP(섬유강화플라스틱)를 사용하여 차체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들이 사용한 섬유는 일반적인 화학섬유 기반이 아닌, 천연 섬유를 주재료로 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목화’ 섬유였다. 사실 상 식물성 강화플라스틱을 차체에 사용한 것이다.

트라반트가 식물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데에는 철강의 부족 외에도 후술할 형편없는 동력성능의 이유도 있었다. 철강으로 차체를 제작하게 되면, 차체가 무거워지고, 무거워진 차체를 엔진이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즉, 선진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궁여지책에 가까운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우여곡절 끝에, VEB 작센링은 1959년 최초의 트라반트 모델인 ‘P50’의 개발에 성공한다. P50은 목화 섬유로 이루어진 가벼운 615kg의 차체 무게와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었다. 0.5리터 2기통 2행정 엔진을 탑재했으며, 최고출력은 18마력이었다. 이후 부분 변경을 거치면서 배기량을 594cc까지 늘렸고 최고출력도 23마력으로 소폭 상승했다. 모델명도 ‘P60’으로 바뀌었다.

tra p601-935x599-2.jpg

1964년, P60을 잇는 ‘P601’이 등장한다. P601은 가장 널리 알려진 트라반트 모델로, 1991년 생산이 중단될 때까지 트라반트의 전형으로 판매됐다. 트라반트는 수십년 동안 큰 외형 변화가 없었는데, 동독 정부가 물자 부족을 이유로 후속 차종을 개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P601에 탑재된 엔진은 동급 차종에 비해서 연료 소모도 많은데다 출력도 낮았다. 제원상의 최고 속도는 123km/h였으나 실제로는 40~60km/h 이상의 속도를 내기도 버거웠다. 광고도 ‘4인의 성인과 짐을 실을 수 있는 자동차’에 그치는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트라반트는 동독에서 가장 ‘잘 나가는’ 자동차였다. 동독의 경찰도 트라반트의 지붕을 없앤 파생형 모델을 이용했으며 심지어 구 동독군에서도 운용되었다. 여기에 헝가리와 폴란드, 루마니아와 같은 주변 공산주의 국가에도 수출하는 등 트라반트의 인기는 그칠 줄을 몰랐다.

1989년 중반 수 천명의 동독사람들이 트라반트를 타고 서독, 헝가리 또는 체코 슬로바키아로 넘어오며 서독을 향해 달려왔고 이후 이러한 탈출경로는 트라비 트레일(Trabi trail)로 알려졌다. 서독에 도착한 트라반트들은 서독의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은 물론, 유럽 전체의 승용차 평균치보다 4배 더 많은 배출가스를 내뿜었다. 1990년 통일 이후 폭스바겐 폴로에 사용됐던 1리터 4기통 엔진을 장착한 페이스리프트 모델 트라반트1.1을 내놓는다. 하지만 좋은차가 많았던 통일 독일에서 트라반트는 외면당했고 이후 1991년 4월 단종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